역사바로세우기
rectifying history
공모 내용(용어/표현/제도/시설/문화 등)은? | 원어: 의미/개선대상은? |
쉴드치다 | shield + 치다: 옹호하다, 감싸주다 |
문화 | 교실 내 수업 전이나 후에 ‘차렷, 경례!’ |
차렷 경례 | 일제식 인사 방법 |
입빠이(잇빠이) | 가득 |
이지매(いじめ) | 따돌림 |
가처분(假處分) | 임시처분 |
시말서(始末書) | 경위서 |
이조(李朝) | 조선(朝鮮) |
체념 | 포기,단념 |
용어: 다시방 시설- 철도 좌측통행 | 의미:자동차의 운전석쪽/원어:대쉬보드 |
야끼(やき[焼き])만두 | 군만두 |
오뎅(おでん) | 어묵(생선묵) |
와사비(わさび) | 고추냉이(양념) |
매점(賣店) | 가게 |
닭도리(とり)탕 | 닭볶음탕 |
용어 | 가빠:남자다움 가라오케:노래부를수있는 술집 빵: -순수한글말이 없다- |
용어 | ようい+마음을먹다:준비 탕 |
현질 | 현(現)+질(행위)-> 주로 현금으로 게임 아이템 등을 구매하다. |
아쌀하다 / 잉꼬 / 야지놓다 / 가마니 / (한 두) 방 | あっさり+하다:산뜻하다,깔끔하다 / インコ(鸚哥):앵무새 / やじ 野次·彌次+놓다:야유하다,빈정거리다 / かます 叭:포대,섬,석 / ばん 番:번 |
차렷/열중셧/차렷/인사- 군사 문화 잔재 및 일제 제국주의식 단체 인사문화 | **초? / **반? -> “대답” 호칭만 부르고 인사 또는 인사말하기 |
표현, 문화 | 남자고등학교 행사시 학교장이나 내빈에게 거수 경례하는 문화(인사의 표현) |
ㅇㅇ,ㅋㅋ,ㅎㅎ,ㅇㄱㄹㅇ 등 줄임말/지역명과 방향을 포함한 학교명(부평북초등학교, 부평동초등학교,인천남중 등) | 응,하하,진짜,정말/일제시대/어느 지역에 있는지 쉽게 알수있지만 일제시대때부터 쭉 사용하고 일괄적으로 부여된 교명이기 때문에 순우리말이나 지역특색을 살린 이름으로 교명을 짓는것이 좋을것 같다. |
용어-구라치다,와꾸 | [ 구라치다:거짓말하다, 와꾸:얼굴 ] – 학생들 사이에서 이런 뜻으로 쓰입니다. |
용어-텐션(파생: 하이텐션, 텐션업 등) | 텐션:긴장감 이라는 뜻이나, 젊은 사람 사이에서는 기분이라는 뜻으로 통용되고 있다. 하이텐션=기분이 좋다, 기분이 붕 떠있다 로 쓰인다. / 오늘따라 왜 이렇게 하이텐션이야?= 오늘따라 왜 이렇게 기분이 좋아? 로 바꿔 쓸 수 있다. |
다라이 | 대야 |
다대기 | 후첨양념 |
삼베수의 | 삼베 대신 자유로운 소재로 짓는 수의 |
용어/표현 | 차렷 경례 |
땡깡부리다. | 땡깡부리다의 ‘땡깡’은 일본어 ‘뗀깡'(てんかん)을 그대로 착안한 단어이다. |
학년 조회 하는 제도 | 일제 시대에 학생들을 구령대 앞에 모아서 공지사항을 한번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. 굳이 모아서 전달하는 것이 아닌 각 반 선생님 혹은 방송으로 전달할 수 있음 |
모찌,오뎅,노가다,경례,교감,쓰레빠 | 노가다는 막일을 하는 사람, 불량스러운 사람으로 바꾼다. 빠꾸(물건을 받지않고 되돌려보냄)는 받지않음,되돌려보내다. |
애매하다 | 일본말에도 한자어로 애매(曖昧·あいまい)가 있는데 이 용어는 우리가 쓰는 한자어 ‘모호(模糊)’와 뜻이 비슷하다. 일본식 한자투에 익숙한 일부 식자층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두 용어를 무분별하게 결합하여 쓰던 것이 굳어져 오늘날까지 ‘애매모호’라는 표현이 굳어졌다. |
용어/ 예) 차렷 경례 | 차렷-공수 경례-인사 |
오라이,교감,차렷,경례,빠꾸,빵꾸,생선까스,잔반,학년조회,구령대,간지,쓰봉 | 와라,부교장,공수,인사,뒤로,펑크,생선튀김,남은 음식,학년조회 없애기,구령대 없애기,멋있다,배바지 |
유행어- 간지나다. | 느낌, 감각을 뜻하는 かんじ(간지) + 나다 |
삐까뻔쩍하다. | 삐까번쩍은 반짝반짝을 뜻하는 일본어 ‘삐까삐까'(ぴかぴか)와 우리말 번쩍번쩍이 합쳐진 것이다. |
간지 | 멋 |
독고다이 | 스스로 결정하여 홀로 일을 처리하거나 그런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|
왔다리 갔다리 | 변절자나 기회주의자와 그들의 행위를 말한다. 이들이 모인 무리를 ‘왔다리 갔다리’라 한다. |
만땅 | 휘발유나 가스 따위위 연료가 가득찬 상태를 속되게 이르는 말 |
구라 | 거짓말’을 속되게 이르는 말인 ‘구라’의 어원을 ‘감추다, 속이다’의 뜻을 나타내는 일본어 ‘구라마스(くらます)’에서 비롯되었다 |
용어 | 엑기스:추출물,추출액, 액상즙/일상용어 |
가오잡다/일상언어표현 | 가오잡다 : 顔(かお), 얼굴 또는 표정을 뜻함, ‘(얼굴)표정관리하다’의 원래의미에서 ‘폼잡다’로 변질되어 사용됨 —-> 자존심세우다, 잰체하다로 개선필요 /일상 언어표현 |
쓰레빠 | 뒤축없는 실내화 |
용어 | 추리닝 (training) |
제도 | 삼베수의 |
쿠사리 / 벤또 / 이빠이 / 스시 | 잔소리 / 도시락 / 가득 / 초밥 |
시건장치/다스(단위명사) | 잠금장치/타 |
수순 | 순서 |
제도-중고등학생 교복 | 성장속도, 활동을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을 계속 고집하는 것 |
용어 | 본교/본 공문 |
쇼부보다 | 협의하다(혹은 흥정하다) |
~성애자 | 무언가를 매우 좋아함 : ~사랑꾼(최근 사용되고 있는 언어 중에 의미가 흡사함) |
덕후 또는 오덕 | 일본어 오타쿠->오덕후로 변형 : 무언가를 매우 좋아하고 몰두하는 사람(사랑꾼으로 변형해서 사용할 수 있음) |
이 노래가 내 18번이야 | 애창곡, 즐겨 부르는 노래 |
수학여행 | 배움여행 |
와쿠(와꾸) | 틀 |
유치원 | 유아학교 |
잔반 | 남은 음식, 찌꺼기 |
잔업 | 시간외 일 |
용어(학부형) | 학생의 아버지나 형을 뜻하는 말 |
쇼부보다 | 승부를 내다 |
용어 | 하제:내일의 순 우리말/전체 |
중간고사, 기말고사, 교복 ,수학여행, 차렷 경례, 학교 | 일본의 잔재들 |